본문 바로가기
노는게 제일좋아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 &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은행 가심사

by 지치지않는체력 2023. 6. 6.
반응형

 

 

 

내집마련 디딤돌  vs  버팀목 전세대출

지난 겨울 집 값이 내려가면서 다시 한 번 영끌족들이 꿈틀댔다고 한다.

금리도 떨어지고 집값도 떨어지면서 나타났을 현장인 것 같다.

지난 겨울까지만 해도 지금이 기회다 싶었는데

내가 이사할 때가 되니 반등이라니... (나... 트루먼인가.. 여기에 날 가둘라고...)

 

어떤 사람들은 이미 바닥을 찍었으니 이제 오를 거라고 하고

어떤 사람들은 잠깐의 반등 이후 더 떨어질꺼라고 전망한다.

나는 후자쪽을 믿는 편이다. 

그렇지만 지역마다 편차가 심하니 계속 지켜봐야할 것이다.

 

이사라는게 늘 시기가 맞아야 하는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우리가 집을 사야 할지, 전세나 월세를 살면서 조금 더 기다려야 할지 고민이 된다.

그렇다면 매수할 때 대출은 얼마나 나올지 그것도 궁금하다.

큰 결정을 앞두고 고민이 많아지는 요즘이다.

 


사려는 사람들은 최대한 싸게 사면 좋고, 금리도 제일 저렴한게 좋을테니

디딤돌대출을 알아보면 좋을 것 같다.

요건을 모두 갖추었을 때 가능한 대출이다.

세대전원 무주택이어야하고, 소득제한도 있으니 꼭 확인해 보아야한다.

 

주택의 70%까지 대출 가능하며, 주택가격이 3억이 초과할 경우 방공제로 약 4,800 정도 (지역에 따라 다름)

빼고서 대출해 준다. 

디딤돌은 일반 은행에서 심사가 안되는 경우가 있으니 사이트를 통해 계산해보고

그게 어렵다 싶으면 은행에 미리 전화를 해보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디딤돌은 가심사 조차 안해주는데도 많다.

 

 


버팀목전세대출 역시 소득과 무주택여부를 보니 꼭 확인하고 진행해야한다.

이 상품은 은행에서 가심사를 해준다.

 

 

금리가 저렴해서 사람들이 많이 선호하지만

무주택 서민들을 위한 대출이라 소득금액도 보고, 당연히 무주택이어야만 가능한 대출상품이다.

 

신혼부부 7년이내인 사람들에겐 대출이 더 많이 된다.


 

 

 

주택도시기금사이트에서 미리 계산해보기

 

https://nhuf.molit.go.kr/FP/FP05/FP0503/FP05030101.jsp

 

주택도시기금

주택도시기금 소개, 주택구입(내집마련디딤돌 등), 전세자금, 월세대출, 국민주택채권, 주택청약, 신혼부부대출

nhuf.molit.go.kr

 

궁금한 것이 생길 때면 주택도시보증공사 1566-9009에 전화를 걸어 물어보곤 했다.

디딤돌 대출시 우리 상황에서 대략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해서 물어보았다.

 

정말 상담하는 사람마다 다 다르다.

2년 전에는 대략적인 금액을 알려주더니 이번엔 안 가르쳐 주었다.

은행에 가서 가심사를 받아 보라는 안내를 받았다.

우리는 당장 온갖 필요서류들을 출력해서 은행으로 향했다.

아직 계약서를 쓴것도 아니라 

대략적인 매물의 정보를 알려줘야 하기에

내가 매수하고 싶은 아파트의 대략적인 동 호수를 지정해서 갔다.

그 아파트의 최근 실거래가로 산정하더라

 

 

우리는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받았던 은행을 찾아갔다.

디딤돌 대출은 아예 가심사를 해줄 수 없다는 대답을 들었다.

공사에 전화해서 물어보니 은행 가서 가심사 받아 보라고 해서 왔다는 상황설명을 하였는데도 

안된다고 안해주더라.

 

어떤 글에서도 보니 은행마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고,  OO 은행이 설명도 잘해주고 했다는 글이 떠올랐다.

아.. 우리 동네엔 그 은행이 없는데....

꼭 그 은행이 아니더라도 정말 은행마다 지점마다 사람마다 다 다른 것은 분명하다.

 

우리는 급하게 근처 다른 은행으로 갔다.

대출이 대략적으로나마 얼마나 나오는지 그 대답을 듣지 못한다면 미춰버릴 것만 같았다.

 

두 번째 은행에서도 가심사는 할 수 없다는 이야기를 하였지만

은행에서 심사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심사를 진행해 주었다.

그 은행원에게도 상황설명을 하니 공사에서는 무조건 은행 가서 가심사하라고 한다며 툴툴댔다.

 

디딤돌 대출은 개인이 사이트를 통해 주택도시기금에 직접 접수를 하고 지정은행에서 대출이 나오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은행에 다녀온 후 디딤돌 대출 계산기를 통해 우리 소득이나 저축이나 체크할게 많아도 이것저것 대략적으로 해보긴 했으나 은행에서 들은 이야기와 너무 다르다. 금액도 안 맞았다. 내가 뭔가 실수를 한건가...

 

자금조잘계획서도 써본 나인데 이런거 쓸 때마다 헷갈리는 건 어쩔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야한다.

이사는 해야하고 내집은 있었으면 좋겠으니까

 

반응형